한국신탁은행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신탁은행.png|섬네일|300픽셀|한국신탁은행의 로고]]
 
[[파일:한국신탁은행.png|섬네일|300픽셀|한국신탁은행의 로고]]
'''한국신탁은행(韓國信託銀行)'''은 1968년 설립되어 1976년 [[서울은행]]에 합병되어 서울신탁은행이 될 때까지 존재했던 은행이다. '''신탁은행''', '''탁은''' 등의 약칭으로도 불리었다.
+
'''한국신탁은행(韓國信託銀行)'''은 1968년 설립되어 1976년 [[서울은행]]에 합병되어 서울신탁은행이 될 때까지 존재했던 은행이다. 약칭은 '''신탁은행''', '''탁은'''  
  
 
+
== 한국신탁은행 ==
= 한국신탁은행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  
 
 
| '''[[서울은행]]'''<BR>(1959,1962)<ref>1959년 서울지방의 지방은행으로 설립되어 1962년 전국은행(시중은행)으로 전환되었다.</ref> ||rowspan=2| '''[[서울신탁은행]]'''<BR>(1974) ||rowspan=2| '''[[서울은행]]'''<BR>(1995) ||rowspan=3| '''[[하나은행]]'''<BR>(2002)
 
| '''[[서울은행]]'''<BR>(1959,1962)<ref>1959년 서울지방의 지방은행으로 설립되어 1962년 전국은행(시중은행)으로 전환되었다.</ref> ||rowspan=2| '''[[서울신탁은행]]'''<BR>(1974) ||rowspan=2| '''[[서울은행]]'''<BR>(1995) ||rowspan=3| '''[[하나은행]]'''<BR>(2002)
 
|-
 
|-
11번째 줄: 10번째 줄:
 
|-
 
|-
 
|}
 
|}
 
 
 
한국의 신탁업은 1932년 말 설립된 조선신탁주식회사가 1946년 조선신탁은행(한국신탁은행<ref>1950년 4월 조선신탁은행에서 한국신탁은행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ref>)으로 상호변경하여 해방이후에도 계속 독점적인 신탁업무를 맡는 구조였다.<ref>1931년 조선신탁업령과 1942년 조선총독부의 조선신탁주식회사 중심의 전선일회사주의(全鮮一會社主義)가 해방후에도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이었다.</ref> 이후 한국신탁은행이 [[조선상호은행]](상공은행)을 합병하여 한국흥업은행으로 변경되었다가 1960년 [[한일은행]]이 되어서도 독점적인 신탁업무를 맡고 있었으나 1961년 한일은행이 신탁재산권의 귀속문제로 인해 신탁업무가 정지되고 신탁업법이 개정되어 1962년 한일은행 외에도 제일, 상업, 조흥, 서울은행도 신탁겸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탁업무가 성장하게 됨에 따라 다시 신탁업무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회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68년 12월 한일은행의 신탁업무를 이관 받아 '''한국신탁은행'''이 창립되였으며, 제일, 상업, 조흥, 서울은행의 신탁업무가 정지되면서 신탁업을 독점적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6년 8월 [[서울은행]]이 한국신탁은행을 합병하여 '''[[서울신탁은행]]'''으로 재출범하면서 한국신탁은행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게 되었고 신탁의 독점 취급도 사라졌다.  
 
한국의 신탁업은 1932년 말 설립된 조선신탁주식회사가 1946년 조선신탁은행(한국신탁은행<ref>1950년 4월 조선신탁은행에서 한국신탁은행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ref>)으로 상호변경하여 해방이후에도 계속 독점적인 신탁업무를 맡는 구조였다.<ref>1931년 조선신탁업령과 1942년 조선총독부의 조선신탁주식회사 중심의 전선일회사주의(全鮮一會社主義)가 해방후에도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이었다.</ref> 이후 한국신탁은행이 [[조선상호은행]](상공은행)을 합병하여 한국흥업은행으로 변경되었다가 1960년 [[한일은행]]이 되어서도 독점적인 신탁업무를 맡고 있었으나 1961년 한일은행이 신탁재산권의 귀속문제로 인해 신탁업무가 정지되고 신탁업법이 개정되어 1962년 한일은행 외에도 제일, 상업, 조흥, 서울은행도 신탁겸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탁업무가 성장하게 됨에 따라 다시 신탁업무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회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68년 12월 한일은행의 신탁업무를 이관 받아 '''한국신탁은행'''이 창립되였으며, 제일, 상업, 조흥, 서울은행의 신탁업무가 정지되면서 신탁업을 독점적으로 취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6년 8월 [[서울은행]]이 한국신탁은행을 합병하여 '''[[서울신탁은행]]'''으로 재출범하면서 한국신탁은행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게 되었고 신탁의 독점 취급도 사라졌다.  
  
  
= 한국신탁은행 축구단(1969년 3월 ~ 1976년 8월) =
+
== 한국신탁은행 축구단(1969년 3월 ~ 1976년 8월) ==
한국신탁은행 축구단은 한국신탁은행 창립과 동시에 창단 준비 작업에 들어가, 1969년 1월 [[대한중석]]에서 퇴사한 김정석 선수를 선수 겸 트레이너로 입단시키고, 1969년 3월 창단하였다. 팀명은 통칭 '''신탁은행''' 또는 '''탁은 축구단'''으로 불리었다. 이후 [[김용식]] 감독ㆍ[[박규정]] 코치라는 당대 최강의 명성을 자랑하는 스탭진을 구성하고, 국가대표 선수들을 양성하였으며 금융단 리그 외에 전국실업축구연맹전에서도 우승을 하는 등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ref>다만 국가대표로 탁은 선수들이 워낙 잦은 차출을 당했던 탓에 실업 대회에는 후보 선수들이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ref>  그러나 1976년 8월 [[서울은행]]이 한국신탁은행을 합병하면서 축구단 또한 [[서울신탁은행 축구단]]으로 흡수되었다.  
+
한국신탁은행 축구단은 한국신탁은행 창립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1968년 12월에 한국신탁은행이 창립되었으나 축구단은 은행 창립준비시기인 10월부터 이미 창단 준비에 들어갔다. 1969년 1월 [[대한중석]]에서 은퇴한 김정석 선수를 트레이너로 입단시켰으며, 1969년 3월 금융단 축구단이 동시에 창단하였다. 팀명은 통칭 '''신탁은행''' 또는 '''탁은 축구단'''으로 불리었다. 금융단 축구리그 초기부터 참여한 축구단이며, 금융단 리그 외에 전국실업축구연맹전에서도 우승을 하는 등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1976년 8월 [[서울은행]]이 한국신탁은행을 합병하면서 축구단 또한 [[서울신탁은행 축구단]]으로 흡수되었다.  
  
 
+
=== 주요 성적 ===
== 선수단<ref>1970년 12월 기준</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포지션 !! 이름 !!  현 소속팀
 
|-
 
| colspan="4" bgcolor="white" | '''스탭진'''
 
|-
 
| '''감독''' || [[김용식]]||rowspan=2| 작고
 
|-
 
| '''코치''' || [[박규정]]
 
|-
 
| colspan="4" bgcolor="white" | '''선수단'''
 
|-
 
| rowspan="3" |'''GK''' || [[이세연]] ||rowspan=3| ?
 
|-
 
|  [[이용의]]
 
|-
 
|  [[김인석]]
 
|-
 
| rowspan="16" |'''필드<br/>플레이어''' || [[김정석]] ||rowspan=15| ?
 
|-
 
|  [[정중식]]
 
|-
 
|  [[최동욱]]
 
|-
 
|  [[김재홍]]
 
|-
 
|  [[송두영]]
 
|-
 
|  [[이영근]]
 
|-
 
|  [[문부호]]
 
|-
 
|  [[이기시]]
 
|-
 
|  [[홍의근]]
 
|-
 
|  [[정태훈]]
 
|-
 
|  [[윤영운]]
 
|-
 
|  [[이창섭]]
 
|-
 
|  [[서윤찬]]
 
|-
 
|  [[김기복]]
 
|-
 
|  [[정강지]]
 
|-
 
|  [[정병탁]] || 작고
 
|-
 
|}
 
 
 
 
 
== 주요 성적 ==
 
 
* [[대통령배 금융단 축구대회]]
 
* [[대통령배 금융단 축구대회]]
 
** 우승 : 1974년
 
** 우승 : 1974년
 
 
* [[국무총리배 금융단 축구대회]]
 
* [[국무총리배 금융단 축구대회]]
 
** 우승 : 1973년
 
** 우승 : 1973년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춘계 우승 : 1971년ㆍ1975년ㆍ1976년
+
** 춘계 우승 : 1975년,1976년
 
** 추계 우승 : 1973년
 
** 추계 우승 : 1973년
  
 +
=== 유명 선수 ===
 +
* [[차범근]]
 +
* [[이세연]]
 +
* [[김기복]]
 +
* [[정병탁]]
  
== 유명 선수 ==
+
== 같이 보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한국신탁은행 시절 유명 선수
 
|-
 
| [[이세연]]ㆍ[[김기복]]ㆍ[[정병탁]]ㆍ[[서윤찬]]ㆍ[[정강지]]
 
|}
 
 
 
 
 
= 같이 보기 =
 
 
* [[서울은행 축구단]]  
 
* [[서울은행 축구단]]  
 
*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
== 참고 ==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금융기업]][[분류:해체된 축구단]][[분류:없어진 기업]][[분류:금융단 축구단]]
 
[[분류:금융기업]][[분류:해체된 축구단]][[분류:없어진 기업]][[분류:금융단 축구단]]

FootballK 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FootballK WIKI: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