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이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스트라이커''' (Striker, Forward)는 축구 경기에서 골을 넣는데 특화된 포지션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공격수라고 하면 이 포지션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공격수의 의미가 [[윙 포워드]]와 스트라이커의 구분을 애매하진다고 보아 본 위키에서는 '''스트라이커 = 센터 포워드 = 중앙 공격수'''로 통일하도록 한다. 아니라고 생각하면 수정바람.
+
'''스트라이커''' (Striker, Forward)는 축구 경기에서 골을 넣는데 특화된 포지션을 가리킨다. 축약어로는 FW, ST, CF 등이 흔히 쓰인다. 스트라이커는 최전방에서 강한 몸싸움과 스피드, 개인기를 바탕으로 상대를 무력화시키고 득점해야 하는 위치로, 팀의 공격을 짊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포지션이다. 일반적으로 포워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
 
  
축약어로는 FW, ST, CF 등이 흔히 쓰인다.
 
 
== 정의 ==
 
== 정의 ==
간단 명쾌하게 정의하자면 중앙에서 골을 넣는 포지션을 말한다. 말 그대로 골을 넣기위해 존재하는 포지션이다. 따라서 당연히 골을 못넣는 스트라이커는 존재가치가 없다. 근데 문제는 대부분의 프로팀 스트라이커들이 득점 능력이 생각보다는 시원찮다는거지만 -_-;;;
+
간단 명쾌하게 정의하자면 중앙에서 골을 넣는 포지션을 말한다. 말 그대로 골을 넣기위해 존재하는 포지션이다. 따라서 당연히 골을 못넣는 스트라이커는 존재가치가 없다. 근데 문제는 대부분의 프로팀 스트라이커들이 득점 능력이 생각보다는 시원찮다는 것. 반면 스트라이커들의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후방 지원을 받지 못해 그저 그런 선수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다.
 +
 
 +
 
 +
== 역할 ==
 +
골만 잘 넣는다면 다른 역할을 안해도 팬들에겐 까방권을 획득하는 편이지만, 감독의 경우는 골을 잘넣어도 팀 플레이에서 겉돌거나 설렁설렁 뛰면 매우 싫어한다. 역으로 골도 못넣는 공격수라면 다른 역할이라도 잘해야 욕이라도 덜 먹는다. 골도 못 넣는게 설렁설렁 뛰기까지하면 이뭐병. 여기서 다른 역할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상대 수비수와 볼경합을 통해 다른 공격수의 볼을 떨궈주는 타겟 역할이나 공간 창출 능력, 또는 효과적으로(?) 나자빠져서 [[PK]]나 [[프리킥]]을 얻어내는 능력, 수비가담 능력 등을 말한다.
 +
 
 +
 
 +
== 요구 능력 ==
 +
축구 지도자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다른건 어떻게 훈련으로 커버가 되지만 득점 찬스에서의 집중력과 패널티박스내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골에 대한 집착<ref>골에 대한 집착이 있어야 대성한다고 생각하는 지도자가 많은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소위 팬들이 깡패같이 플레이한다고 말하는 거친 스타일의 공격수를 은근 좋아하는 감독들이 많다. 일례로 [[이천수]] 선수가 부평고에 들어갈 수 있었던 계기도, 골 못넣고 열받아서 상대 수비수한테 백태클을 시전하고 퇴장 크리먹는걸 보고 부평고 감독이 감동해서;; 영입했던 사례나, [[라데]]가 수비수를 아작내면서 볼을 뺏는걸보고 [[이회택]] 감독이 저거 물건이다라고 무릎을 쳤던 사례라든지, [[노상래]], [[김현석]], [[최용수]], [[유병수]] 선수의 사례라든지 은근히 예가 많은편.</ref> 은 타고나야 된다고 한다. 위 능력이 성공적인 공격수들에게는 절대적 조건인듯. 물론, 여기서 성공적 공격수들이란 레젼드 수준의 공격수를 말한다. 그냥 평범한(?) 프로 공격수들은 출중한 하드웨어와 약간의 센스, 평균 이상의 슈팅 능력만 갖추면 무난한 공격수가 될 수 있다.
 +
 
  
 
== 유형 ==
 
== 유형 ==
스트라이커는 그 포지션의 특성상 워낙 조명도 잘받고, 선수 플레이 스타일도 제각각이라 스트라이커 포지션 안에 스트라이커 유형을 설명하는 세부 포지션 구분이 세세하게 이루어져있는 편인데, 굳이 이걸 다 알 필요는 없을듯하다. 현대 축구 특성상 이런 유형 세분화도 무의미해져가고 있기에 더더욱 그런듯. 다만, 타겟형 스트라이커와 쉐도우 스트라이커는 많이 사용하는 유형 범주이다.  
+
스트라이커는 그 포지션의 특성상 워낙 조명도 잘받고, 선수 플레이 스타일도 제각각이라 스트라이커 포지션 안에 스트라이커 유형을 설명하는 세부 포지션 구분이 세세하게 이루어져있는 편인데, 굳이 이걸 다 알 필요는 없을듯하다. 현대 축구 특성상 이런 유형 세분화도 무의미해져가고 있기에 더욱 그런 듯. 다만, 타깃형 스트라이커와 쉐도우 스트라이커는 많이 사용하는 유형 범주이다.  
  
 
=== 쉐도우 스트라이커 ===
 
=== 쉐도우 스트라이커 ===
----
+
'''쉐도우 스트라이커'''는 사전적 의미로 따지면 그림자처럼 타깃 스트라이커를 뒷받침하며 기회를 만들거나 직접 득점에 관여하는 포지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투톱 혹은 역삼각형의 스리톱을 세웠을 때 최전방 스트라이커 뒤에서 살짝 쳐진 자리에서 경기하는 유형을 쉐도우 스트라이커라고 한다. 그 때문에, 세컨드 스트라이커(Second Striker)나 딥 라잉 포워드(Deep-lying Forward)라는 또다른 이름이 있다.
쉐도우 스트라이커 (Shadow Striker) 내지 세컨드 스트라이커(Second stiker) 라고 부르는 포지션. 둘다 축약어는 SS라 그런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일반적인 정의는 [[투톱]]을 세웠을때 두명의 중앙 공격수 중 최전방 스트라이커의 뒷쪽에 위치하면서, 순간적인 돌파나 슈팅으로 득점을 올리거나 수비수들을 끌어 모으는 역할과 공간 창출 등의 역할을 맡는 스트라이커를 말한다. 뭐 근데 쉐도우 스트라이커나 [[공격형 미드필더]]나 딱히 구분되는 포지션이 아니고, 쉐도우와 [[윙 포워드]][[스위칭]]하는 경우도 원체 잦아서 포지션 고유의 특성은 찾기 힘들다. 그냥 타겟형 스트라이커는 키큰 중앙 공격수, 쉐도우는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중앙 공격수로 구분하는게 속편할듯. 일반적인 공격수보다 쳐진 위치에서 경기하므로 딥 라잉 포워드(Deep-lying forward)라고 부르기도 한다.
+
이 위치에서 뛰는 선수는 기본적으로 스트라이커가 갖추어야 할 덕목인 위치 선정, 빠른 스피드와 강한 몸싸움 및 좋은 득점력은 물론, 뛰어난 개인기, 넓은 시야와 패스 감각까지 갖추어야 한다. 쉐도우 스트라이커의 표본으로는 [[네덜란드]][[아스날 FC]]의 전설적인 선수인 [[데니스 베르캄프]]가 꼽힌다. 베르캄프는 득점력뿐만 아니라 다른 공격수를 지원해주는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다. 특히 수비의 틈을 노리는 스루 패스의 정확도가 상당히 높아 상대 수비수들을 곤혹에 빠뜨렸다.
 +
 
 +
=== 타깃 스트라이커 ===
 +
타깃 스트라이커는 말 그대로 기타 아군 선수들의 패스 표적 임무를 수행하는 위치로, 머리뿐만 아니라 발을 향한 패스를 받거나 공간으로 주는 패스를 받아 경기를 풀어 나가는 형태의 타깃 스트라이커도 존재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타깃 스트라이커라고 하면 머리를 향해 공을 올려주는 형태라고 통한다.
 +
타깃 스트라이커는 큰 키와 강한 몸싸움을 주무기로 하여, 상대 센터백과 직접 부딪히면서 찬스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가 크기 때문에, 발이 느리고 움직임이 둔할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기는 하나, 정상급 타깃 공격수는 평균 이상의 주력과 상당히 빼어난 민첩성을 가지고 있다.
 +
타깃 스트라이커의 표본으로는 [[박지성 (1981년)|박지성]]과 [[손흥민]]의 전 동료로 우리에게 친숙한 [[뤼트 판 니스텔로이]]가 있다. 188cm의 키에 당당한 체구를 바탕으로 상대를 유린하였고, 뛰어난 골 결정력으로 가는 곳 마다 기본적으로 두자릿 수 득점을 기록할 정도로 탁월한 능력을 자랑했다.
 +
 
 +
=== 기타 역할 ===
 +
* 골 사냥꾼
 +
* 수비형 스트라이커
  
=== 타겟형 스트라이커 ===
 
----
 
타겟형 스트라이커 (Target Striker) 는 수비수와 헤딩 볼경합을 통해 직접 득점을 올리거나 다른 공격수를 지원해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공격수를 말한다. 특징은 일단 딴거없이 키가 엄청 크다. 190cm 전후는 되어야 타겟이란 소리를 듣는다. 키가 크니까 발이 느려도 상관없을거 같다는 이미지가 붙지만, 실제로는 미드필더에서 날아오는 볼을 머리로 받아넣으려면 잽싸게 자기 위치를 잡아야되기 때문에 스피드도 정말 중요한 포지션. 덧붙여 몸싸움도 잘해야되고. 득점 능력도 있어야된다. 모든 팀이 타겟 스트라이커를 한명씩 갖고있지만 쓸만한 타겟을 가진 팀은 없는것도 이때문인듯.
 
== 역할 ==
 
골만 잘넣는다면 다른 역할을 안해도 팬들에겐 까방권을 획득하는 편이지만, 감독의 경우는 골을 잘넣어도 팀플레이에서 겉돌거나 설렁설렁 뛰면 매우 싫어한다. 역으로 골도 못넣는 공격수라면 다른 역할이라도 잘해야 욕이라도 덜먹는다. 골도 못넣는게 설렁설렁 뛰기까지하면 이뭐병. 여기서 다른 역할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상대 수비수와 볼경합을 통해 다른 공격수의 볼을 떨궈주는 타겟 역할이나 공간 창출 능력, 또는 효과적으로(?) 나자빠져서 [[PK]]나 [[프리킥]]을 얻어내는 능력, 수비가담 능력 등을 말한다.
 
  
== 요구 능력 ==
 
축구 지도자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다른건 어떻게 훈련으로 커버가 되지만 득점 찬스에서의 집중력과 패널티박스내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골에 대한 집착<ref>골에 대한 집착이 있어야 대성한다고 생각하는 지도자가 많은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소위 팬들이 깡패같이 플레이한다고 말하는 거친 스타일의 공격수를 은근 좋아하는 감독들이 많다. 일례로 [[이천수]] 선수가 부평고에 들어갈 수 있었던 계기도, 골 못넣고 열받아서 상대 수비수한테 백태클을 시전하고 퇴장 크리먹는걸 보고 부평고 감독이 감동해서;; 영입했던 사례나, [[라데]]가 수비수를 아작내면서 볼을 뺏는걸보고 [[이회택]] 감독이 저거 물건이다라고 무릎을 쳤던 사례라든지, [[노상래]], [[김현석]], [[최용수]], [[유병수]] 선수의 사례라든지 은근히 예가 많은편.</ref> 은 타고나야 된다고 한다. 위 능력이 성공적인 공격수들에게는 절대적 조건인듯. 물론, 여기서 성공적 공격수들이란 레젼드 수준의 공격수를 말한다. 그냥 평범한(?) 프로 공격수들은 출중한 하드웨어와 약간의 센스, 평균 이상의 슈팅 능력만 갖추면 무난한 공격수가 될 수 있다.
 
 
== 참고 사항 ==
 
== 참고 사항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포지션]][[분류:포워드]]
 
[[분류:포지션]][[분류:포워드]]

2012년 6월 24일 (일) 03:01 판

스트라이커 (Striker, Forward)는 축구 경기에서 골을 넣는데 특화된 포지션을 가리킨다. 축약어로는 FW, ST, CF 등이 흔히 쓰인다. 스트라이커는 최전방에서 강한 몸싸움과 스피드, 개인기를 바탕으로 상대를 무력화시키고 득점해야 하는 위치로, 팀의 공격을 짊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포지션이다. 일반적으로 포워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의

간단 명쾌하게 정의하자면 중앙에서 골을 넣는 포지션을 말한다. 말 그대로 골을 넣기위해 존재하는 포지션이다. 따라서 당연히 골을 못넣는 스트라이커는 존재가치가 없다. 근데 문제는 대부분의 프로팀 스트라이커들이 득점 능력이 생각보다는 시원찮다는 것. 반면 스트라이커들의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후방 지원을 받지 못해 그저 그런 선수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다.


역할

골만 잘 넣는다면 다른 역할을 안해도 팬들에겐 까방권을 획득하는 편이지만, 감독의 경우는 골을 잘넣어도 팀 플레이에서 겉돌거나 설렁설렁 뛰면 매우 싫어한다. 역으로 골도 못넣는 공격수라면 다른 역할이라도 잘해야 욕이라도 덜 먹는다. 골도 못 넣는게 설렁설렁 뛰기까지하면 이뭐병. 여기서 다른 역할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상대 수비수와 볼경합을 통해 다른 공격수의 볼을 떨궈주는 타겟 역할이나 공간 창출 능력, 또는 효과적으로(?) 나자빠져서 PK프리킥을 얻어내는 능력, 수비가담 능력 등을 말한다.


요구 능력

축구 지도자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다른건 어떻게 훈련으로 커버가 되지만 득점 찬스에서의 집중력과 패널티박스내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골에 대한 집착[1] 은 타고나야 된다고 한다. 위 능력이 성공적인 공격수들에게는 절대적 조건인듯. 물론, 여기서 성공적 공격수들이란 레젼드 수준의 공격수를 말한다. 그냥 평범한(?) 프로 공격수들은 출중한 하드웨어와 약간의 센스, 평균 이상의 슈팅 능력만 갖추면 무난한 공격수가 될 수 있다.


유형

스트라이커는 그 포지션의 특성상 워낙 조명도 잘받고, 선수 플레이 스타일도 제각각이라 스트라이커 포지션 안에 스트라이커 유형을 설명하는 세부 포지션 구분이 세세하게 이루어져있는 편인데, 굳이 이걸 다 알 필요는 없을듯하다. 현대 축구 특성상 이런 유형 세분화도 무의미해져가고 있기에 더욱 그런 듯. 다만, 타깃형 스트라이커와 쉐도우 스트라이커는 많이 사용하는 유형 범주이다.

쉐도우 스트라이커

쉐도우 스트라이커는 사전적 의미로 따지면 그림자처럼 타깃 스트라이커를 뒷받침하며 기회를 만들거나 직접 득점에 관여하는 포지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투톱 혹은 역삼각형의 스리톱을 세웠을 때 최전방 스트라이커 뒤에서 살짝 쳐진 자리에서 경기하는 유형을 쉐도우 스트라이커라고 한다. 그 때문에, 세컨드 스트라이커(Second Striker)나 딥 라잉 포워드(Deep-lying Forward)라는 또다른 이름이 있다. 이 위치에서 뛰는 선수는 기본적으로 스트라이커가 갖추어야 할 덕목인 위치 선정, 빠른 스피드와 강한 몸싸움 및 좋은 득점력은 물론, 뛰어난 개인기, 넓은 시야와 패스 감각까지 갖추어야 한다. 쉐도우 스트라이커의 표본으로는 네덜란드아스날 FC의 전설적인 선수인 데니스 베르캄프가 꼽힌다. 베르캄프는 득점력뿐만 아니라 다른 공격수를 지원해주는 능력이 상당히 뛰어났다. 특히 수비의 틈을 노리는 스루 패스의 정확도가 상당히 높아 상대 수비수들을 곤혹에 빠뜨렸다.

타깃 스트라이커

타깃 스트라이커는 말 그대로 기타 아군 선수들의 패스 표적 임무를 수행하는 위치로, 머리뿐만 아니라 발을 향한 패스를 받거나 공간으로 주는 패스를 받아 경기를 풀어 나가는 형태의 타깃 스트라이커도 존재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타깃 스트라이커라고 하면 머리를 향해 공을 올려주는 형태라고 통한다. 타깃 스트라이커는 큰 키와 강한 몸싸움을 주무기로 하여, 상대 센터백과 직접 부딪히면서 찬스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가 크기 때문에, 발이 느리고 움직임이 둔할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기는 하나, 정상급 타깃 공격수는 평균 이상의 주력과 상당히 빼어난 민첩성을 가지고 있다. 타깃 스트라이커의 표본으로는 박지성손흥민의 전 동료로 우리에게 친숙한 뤼트 판 니스텔로이가 있다. 188cm의 키에 당당한 체구를 바탕으로 상대를 유린하였고, 뛰어난 골 결정력으로 가는 곳 마다 기본적으로 두자릿 수 득점을 기록할 정도로 탁월한 능력을 자랑했다.

기타 역할

  • 골 사냥꾼
  • 수비형 스트라이커


참고 사항

  1. 골에 대한 집착이 있어야 대성한다고 생각하는 지도자가 많은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소위 팬들이 깡패같이 플레이한다고 말하는 거친 스타일의 공격수를 은근 좋아하는 감독들이 많다. 일례로 이천수 선수가 부평고에 들어갈 수 있었던 계기도, 골 못넣고 열받아서 상대 수비수한테 백태클을 시전하고 퇴장 크리먹는걸 보고 부평고 감독이 감동해서;; 영입했던 사례나, 라데가 수비수를 아작내면서 볼을 뺏는걸보고 이회택 감독이 저거 물건이다라고 무릎을 쳤던 사례라든지, 노상래, 김현석, 최용수, 유병수 선수의 사례라든지 은근히 예가 많은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