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9번째 줄: 29번째 줄:
  
 
[[분류:해체된 축구단]]
 
[[분류:해체된 축구단]]
 +
 +
== 같이 보기 ==
 +
* [[서울신탁은행 축구단]]

2014년 1월 19일 (일) 22:12 판

서울은행

1959년 서울은행으로 창립, 1976년 한국신탁은행과 합병뒤 서울신탁은행으로 재출범, 1995년 6월1일 서울신탁은행에서 서울은행으로 개명하였고, 2002년 12월 하나은행과 합병한다.


서울은행 축구단(1969년 8월~1976년 8월)

1969년 8월 창단, 1976년 8월 한국신탁은행 축구단과 합병되면서 서울신탁은행 축구단으로 재창단한다.


서울은행 축구단(2000년 재창단)

서울신탁은행 시절이었던 1994년 5월 실업축구단을 해체했었지만 2000년 1월6일 서울은행 본점 대강당에서 재창단한다.


재창단과 해체의 논란

2000년 당시 2002월드컵 공식은행 지정을 앞두고 국민은행과 함께 해체된 실업축구단을 재창단 하면서, 월드컵 공식은행으로 선정되기 위한 명분쌓기용이라는 시선이 없지 않았다. 94년부터 월드컵 유치위원회 후원은행을 자청하고, 98년에는 대한축구협회 후원은행으로 선정되었지만 2002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후원금 약정 액수만을 기준으로 2002 월드컵 공식은행을 선정하기로 결정했고 2000년 3월 제안서에서 가장적은 액수를 써서 2002 월드컵 공식은행 선정[1]에서 경합을 벌이던 4개은행중(서울,주택,외환,조흥) 가장 먼저 탈락하게 된다. 대한축구협회는 이러한 결과에 당황스러워 했지만 94년 유치위원회 후원은행 선정 당시에 실업축구단을 해체한 서울신탁은행이 유치위원회 공식은행으로 선정되면서 논란이 많았다. 결국 재창단한 실업축구단을 2000년 한해만 운영하고 더 이상 운영하지 않으면서 실업축구단의 재창단은 2002 월드컵 공식은행 선정을 위한 명분쌓기용임이 분명해졌다. [2] [3]

참고

  1. 주택은행이 2002 월드컵 공식은행으로 선정됐지만 국민은행과 합병하면서 자연스럽게 국민은행이 공식은행이 됐다.
  2. 관련기사 국민-서울은행 축구팀 재창단 의미[1]
  3. 관련기사 박세직과 정몽준, 궁합이 안맞는다구? [2]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