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임시 저장 2)
잔글 (내용 추가를 부탁합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프로필 =
+
== 프로필 ==
 
{{col-begin}}
 
{{col-begin}}
 
{{col-3}}
 
{{col-3}}
18번째 줄: 18번째 줄: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00년 ACF U-19 챔피언십]] 본선 대표
+
: [[2006년 FIFA 독일 월드컵]] 대표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본선 대표
+
: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대표
: [[2004년 AFC 아시안컵]] 아시아예선 대표
 
: [[2005년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본선 대표
 
: [[2006년 FIFA 독일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대표
+
: '''(통산 A매치 26경기 출장 0골)'''
: [[2010년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본선 대표
 
: [[2010년 FIFA 남아공 월드컵]] 본선 대표
 
: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본선 대표
 
: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2003년 ~ 2012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 '''(통산 A매치 71경기 출장 6골)'''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45번째 줄: 36번째 줄: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rowspan=4|[[울산 현대 호랑이]] || 2003 || 9 || || 1 || 0 || 2 || 0
+
| rowspan=4|[[울산 현대 호랑이]] || 2003 || 9 || 5 || 1 || 0 || 2 || 0
 
|-
 
|-
| 2004 || 29 || || 1 || 0 || 5 || 1
+
| 2004 || 29 || 5 || 1 || 0 || 5 || 1
 
|-
 
|-
| 2005 || 36 || || 1 || 3 || 9 || 0
+
| 2005 || 36 || 3 || 1 || 3 || 9 || 0
 
|-
 
|-
| 2006 || 7 || || 1 || 2 || 1 || 1
+
| 2006 || 7 || 0 || 1 || 2 || 1 || 1
 
|-
 
|-
| [[성남 일화 천마]] || 2009 || 35 || || 2 || 2 || 10 || 0
+
| [[성남 일화 천마]] || 2009 || 35 || 3 || 2 || 2 || 10 || 0
 
|-
 
|-
| rowspan=2|[[울산 현대]] || 2011 || 40 || || 0 || 3 || 5 || 0
+
| rowspan=2|[[울산 현대]] || 2011 || 40 || 14 || 0 || 3 || 5 || 0
 
|-
 
|-
| 2012 || 30 || || 0 || 0 || 4 || 0
+
| 2012 || 30 || 9 || 0 || 0 || 4 || 0
 
|-
 
|-
| rowspan=2|[[상주 상무]] || 2013 || 34 || || 0 || 2 || 6 || 0
+
| rowspan=2|[[상주 상무]] || 2013 || 34 || 7 || 0 || 2 || 6 || 0
 
|-
 
|-
| rowspan=2|2014 || 17 || || 2 || 1 || 3 ||0
+
| rowspan=2|2014 || 17 || 2 || 2 || 1 || 3 ||0
 
|-
 
|-
| [[울산 현대]] || 10 || || 1 || 0 || 1 || 0
+
| [[울산 현대]] || 10 || 1 || 1 || 0 || 1 || 0
 
|-
 
|-
 
| [[전북 현대 모터스]] || 2015 ||  ||  ||  ||  ||  ||  
 
| [[전북 현대 모터스]] || 2015 ||  ||  ||  ||  ||  ||  
 
|-
 
|-
! rowspan=3|통산 ([[K리그]]) || 클래식 || 213 || || 9 || 11 || 40 || 2
+
! rowspan=3|통산 ([[K리그]]) || 클래식 || 213 || 42 || 9 || 11 || 40 || 2
 
|-
 
|-
! 챌린지 || 32 || || 0 || 2 || 6 || 0
+
! 챌린지 || 32 || 7 || 0 || 2 || 6 || 0
 
|-
 
|-
! 승강 || 2 || || 0 || 0 || 0 || 0
+
! 승강 || 2 || 0 || 0 || 0 || 0 || 0
 
|}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5년 2월 15일 기준.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5년 2월 15일 기준.
77번째 줄: 68번째 줄:
  
  
= 유소년 생활 =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성내초등학교, 중동중학교를 거쳐 [[중동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울산과학대학교]]를 졸업하였다. 강한 수비력과 터프한 플레이가 [[김남일]]을 닮았다고 하여 '신형 진공청소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
== 유소년 생활 ==
 +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성내초등학교, 중동중학교를 거쳐 [[중동고등학교]]를 중퇴하였다. 중동고등학교 중퇴 후 대학교에 가지 않고 2000년 크루제이루 EC 유소년 팀에 입단하였고, 2002년 AC 키에보 베로나 입단테스트에 합격하여 2군에서 뛰며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비유럽권(Non-EU) 선수 보유 제한 규정'으로 인하여 국내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후 [[울산과학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강한 수비력과 터프한 플레이가 [[김남일]]을 닮았다고 하여 '신형 진공청소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 프로 생활 =
 
== 울산 시절 ==
 
자유계약 시절이던 2003년 치열한 스카우트 전쟁에서 승리한 [[울산 현대 호랑이]]에 [[최성국]]과 함께 당시 상한이었던 계약금 3억원으로 입단하였다.<ref>2003년을 전후로 울산은 김정우를 비롯해 [[최성국]], [[이천수]], [[이호]] 등 당대 신인 선수들을 모조리 긁어모으는데 성공해, 이들을 바탕으로 [[2005년 K리그]] 우승을 일궈내게 된다.</ref> 이미 대학시절부터 올림픽대표팀 멤버로 선발되어 기량을 인정받았던 김정우 선수는 데뷔시즌부터 울산의 주전 미드필더 자리를 맡아 활약하며, 당시 J리그로 진출했던 [[유상철]]의 공백을 완전히 메웠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고, 이런 활약 덕택에 울산은 2003년 K리그 준우승이라는 호성적을 얻게 된다.<ref>다만 [[2003년 K리그]]는 [[성남 일화 천마]]가 압도적으로 1위였고, 준우승팀인 울산과의 승점차는 무려 '''18점'''이었다...</ref>
 
  
한편, 올림픽 예선때부터 붙박이 멤버로 참가하고 있던 김정우 선수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본선에 참가하게 된다. 본선 조별예선 및 8강전 전경기에 중앙 미드필더로 선발출장하여 투지를 보여주였지만, 아쉽게도 8강에서 파라과이에 어려운 경기를 펼치다가 2:3로 패배하여 탈락하고 말았다. 2005년 시즌에는 입단 동기인 [[이호1|이호]]와 함께 울산의 중원을 책임지게 되는데, 당시 울산은 [[김정남]] 감독의 카운터 전술과 정확한 패스의 김정우- 강력한 커팅의 이호 조합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ref>여기에다 사기캐릭 [[이천수]]와 [[마차도]]의 활약까지..</ref> 결국 2005년 K리그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1996년 울산의 우승 이후 9년만의 2번째 우승이었다. 
 
  
 +
== 프로 생활 ==
 +
=== 울산 시절 ===
 +
2003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데뷔하여, [[K리그 2005|2005년 K리그]] 우승 등에 공헌하였다.
  
== J리그와 성남 시절 ==
 
프로 데뷔 후 울산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경험한 김정우 선수는 이후 해외진출을 모색하여, 2006시즌부터 J리그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뛰게 되었다. J리그에서는 보다 공격적인 역할을 맡아 전에 볼 수 없었던 프리킥과 중거리슛 등을 선보이며 공격에도 엄청난 재능이 있음을 알리기도 했다.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2년간 활약 후, [[FA]]가 된 김정우 선수는 2008년 [[성남 일화 천마]]에 입단하게 된다. 성남에서는 주장을 맡으며 팀을 먹여살리는 중앙 미드필더로 공수 양면에 걸쳐 엄청난 존재감을 과시했다.
 
  
 +
=== 러시아 및 성남, 외국 시절 ===
 +
독일 월드컵 직후 [[김동진]]과 함께 [[딕 아드보카트]]가 감독으로 부임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팀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였다.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후 초반 선발 및 교체를 오가며 출장 기회를 많이 잡아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포지션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2007년 팀에 영입된 티모슈크에게 밀리며 거의 출전하지 못하였다. 2007-08시즌 [[UEFA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김동진과 함께 [[차범근]] 이후 20년 만에 UEFA컵 우승을 경험한 대한민국 선수가 되기도 하였지만, 팀 내에서의 주전 확보에 실패하여 2009년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였다. 성남에서 K리그와 FA컵 준우승에 기여한 후 [[아랍에미리트]]의 [[알 아인]] FC로 이적하였으나 반 시즌만에 J리그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
  
== 상무 시절과 전북행 ==
 
2010년 군입대를 결심하여 [[광주 상무]]에 입대하였다. 2011년 새출발하게된 [[상주 상무]]에서 군 복무를 이어나가던 중, [[이수철]] 감독의 복안에 따라 동계훈련때부터 최전방 스트라이커를 맡게되었다. 시즌 전 인터뷰에서 '초등학교때 공격수로 득점왕 수상'을 해본 경험이 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팬들은 갑작스러운 포지션 변경에 의아해 했지만, 시즌 초부터 연속골을 터트리며 시즌 내내 득점랭킹 상위권을 지켰다. 결국 2011시즌 김정우 선수가 기록한 골은 무려 '''18골!'''<ref>리그에서 15골 (리그 득점랭킹 3위), 컵대회에서 3골이었다.</ref> 이후 뼈트라이커로 불리우며 2011년 K리그 초반기 아이콘으로 군림하던 김정우 선수는 2011시즌을 끝으로 상주 상무에서 제대하였고, 이후 원소속팀인 성남과의 계약이 만료되어 FA 자격을 얻게된다.
 
  
2011년 공격 재능까지 뽐내며 수많은 팀들의 영입 리스트에 오른 김정우 선수는, 결국 2012년 [[전북 현대 모터스]]와 약 15억원(추정)에 달하는 대형계약을 맺고 이적하게 되었다. 전북 입단 후에는 잔부상이 계속 발생하는 바람에 컨디션 난조를 겪고있는 모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골 2도움의 활약을 보여주었다. 다른 MF 기록이었다면, 준수한 기록으로 남았겠지만 지난시즌 뼈트라이커로 불리며 득점을 몰아쳤던 김정우가 5골만 기록했다는 사실에 전북팬들은 다소 아쉽다는 평을 남기고있다. 여기에 상위 스플릿 리그가 시작한 이후로는 강팀들과의 경기에서 득점포가 침묵하는등, 다소 처지는 활약도를 보여준 것도 아쉬운점. 설상가상으로 이듬해인 2013시즌에는 부상에 심리적인 압박감까지 겹치면서 겉잡을 수 없이 하락세를 보였다. 결국 2013년 7월 전북 감독으로 복귀한 [[최강희]]는 김정우를 내보내기로 결심했고, 김정우는 2013년 8월 UAE 축구팀인 알 샤르자로 1년 임대되며 전북과 이별하게 되었다.
+
=== 울산 복귀 및 상주 시절 ===
 +
2011년 오미야를 떠나 친정 팀인 울산으로 복귀하였고, [[러시앤캐시컵 2011|2011 K리그컵]] 우승, [[K리그 2011|2011 K리그]] 준우승에 일조하였으며, 2012년에는 팀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일조하였다. 2012년 정규 시즌 후 팀 동료 [[이근호]], [[이재성|이재성]]과 함께 상무에 입대하여 상무를 [[K리그 챌린지 2013|2013 K리그 챌린지]] 우승과 더불어 [[K리그 클래식]] 승격에 큰 공헌을 하였고, 2014년 9월 16일에 팀 동료 이재성과 전역하여 울산에 복귀하였다. 2014 시즌이 끝나고 자유계약 신분이 된 이호는 중국 진출을 타진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권경원의 갑작스러운 이적으로 중원 보강을 원하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 전북을 떠난 이후 ==
+
 
알 샤르자에서 1년간 28경기를 나서며 활약한 김선수는, 임대 기간 만료 후 알 샤르자와 완전 이적 협상에 들어갔다가 결렬을 선언한 뒤 2014년 7월 바니야스 SC로 완전 이적하는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2015년 2월, 바니아스 SC와 상호 계약해지에 합의하며 또다시 무적 선수가 되고 말았다.  
+
== 국가 대표 생활 ==
 +
2005년 [[딕 아드보카트]] 감독이 부임하면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중앙 미드필더로 발탁되었고, 2005년 10월 12일 이란과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다. 2006 독일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예선 3경기에 모두 풀타임 출전했으나 스위스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주심의 편파 판정 논란과 함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란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하면서 노메달로 귀국했고 2007년 AFC 아시안컵에는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일본과의 3-4위 결정전 승부차기에서 팀의 네번째 키커로 나가 성공시키며 조국의 6대 5 승리와 차기 아시안컵 자동 출전권 획득에 일조하였다.
 +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울산, 성남 시절까지만 해도 중앙에서 공수조율과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는 멀티롤 미드필더였으나 [[상주 상무]] 입단 후, [[이수철]] 감독의 복안에 따라 전격 최전방 스트라이커를 맡게되었다. 스트라이커 전담 후 빠른 움직임과 간결한 터치, 여기에 무시무시한 패널티 에어리어 내에서의 집중력으로 2011시즌 초반 득점행진을 벌여 화제가 되었다. 아쉽게도 2011년 6월, [[K리그 승부조작]] 사태 이후에는 상주 상무의 팀 분위기가 패망하면서 김정우의 득점 빈도도 눈에 띄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시즌 K리그 득점순위 3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했다.
+
상대 공격의 맥을 제대로 끊을 수 있는 뛰어난 수비력과 경기장 전체를 아우르는 기동력, 빠른 패스 연결 등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며, 뛰어난 공수 밸런스와 파이팅이 돋보인다. 높은 수준의 성실함과 집중력, 승부근성 또한 이호의 장점 중 하나이다.
 +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연예인 이연두 씨와 연인관계로 알려져있다. 그런데 2012년 8월 결별을 선언했다.<ref>관련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22/2012082201338.html]</ref>
+
*  
  
* 체격에 비해 살이 안붙는 체질이라 멀리서 보면 젓가락이 서있는것 처럼 보인다. 때문에 붙은 별명이 바로 '''뼈정우'''. 하지만 겉보기와 달리 몸싸움에서도 여간해서는 잘 안밀린다.
 
  
  
 
== 경력 ==
 
== 경력 ==
* 2003 ~ 2005 : [[울산 현대 호랑이]] / K리그
+
* 2003 ~ 2006 : [[울산 현대 호랑이]] / K리그
 +
 
 +
* 2007 ~ 2008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
* 2009 ~ 2009 : [[성남 일화 천마]] / K리그
 +
 
 +
* 2010 ~ 2010. 7. : [[알 아인]]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2006 ~ 2007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J리그
+
* 2010. 7. ~ 2010. 12. : [[오미야 아르디자]] / J리그
  
* 2008 ~ 2011 : [[성남 일화 천마]] / K리그
+
* 2011 ~ 2012 : [[울산 현대]] / K리그
  
* 2010 ~ 2011 : [[상주 상무 피닉스]] / K리그 (군복무)
+
* 2013 ~ 2014. 9 : [[상주 상무]] / K리그 챌린지, K리그 클래식
  
* 2012 ~ 2013.7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
* 2014. 9 ~ 2014. 12 : [[울산 현대]] / K리그 클래식
  
* 2013.8 ~ 2014.7 : 알 샤르자 / UAE 1부 (임대)
+
* 2015 ~ 현재 : [[전북 현대 모터스]]
  
* 2014.7 ~ 2015.2 : 바니야스 SC / UAE 1부
 
  
  
136번째 줄: 132번째 줄:
 
== 참고 ==
 
== 참고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1982년생]][[분류:부평고등학교의 선수]][[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분류:성남 일화 천마의 선수]][[분류:광주 상무의 선수]][[분류:상주 상무의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선수]][[분류:해외파 선수]]
+
[[분류:1984년생]][[분류:중동고등학교의 선수]][[분류:울산과학대학교의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분류: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선수]][[분류:성남 일화 천마의 선수]][[분류:알 아인의 선수]][[분류:오미야 아르디자의 선수]][[분류:상주 상무의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선수]]

2015년 2월 15일 (일) 22:35 판

[[File:|섬네일|200픽셀|이호]] 이호(1984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선수로, 2003년부터 현재까지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드필더다.


프로필

  • 이름 : 이호
  • 출생일 : 1984년 10월 22일
  • 신장 : 182cm / ?kg
  • 국가대표 경력
2006년 FIFA 독일 월드컵 대표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대표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통산 A매치 26경기 출장 0골)
  • 별명 : 신형 진공청소기
  • K리그 기록
소속팀 연도 출장 교체 득점 도움 경고 퇴장
울산 현대 호랑이 2003 9 5 1 0 2 0
2004 29 5 1 0 5 1
2005 36 3 1 3 9 0
2006 7 0 1 2 1 1
성남 일화 천마 2009 35 3 2 2 10 0
울산 현대 2011 40 14 0 3 5 0
2012 30 9 0 0 4 0
상주 상무 2013 34 7 0 2 6 0
2014 17 2 2 1 3 0
울산 현대 10 1 1 0 1 0
전북 현대 모터스 2015
통산 (K리그) 클래식 213 42 9 11 40 2
챌린지 32 7 0 2 6 0
승강 2 0 0 0 0 0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5년 2월 15일 기준.


유소년 생활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성내초등학교, 중동중학교를 거쳐 중동고등학교를 중퇴하였다. 중동고등학교 중퇴 후 대학교에 가지 않고 2000년 크루제이루 EC 유소년 팀에 입단하였고, 2002년 AC 키에보 베로나 입단테스트에 합격하여 2군에서 뛰며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비유럽권(Non-EU) 선수 보유 제한 규정'으로 인하여 국내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후 울산과학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강한 수비력과 터프한 플레이가 김남일을 닮았다고 하여 '신형 진공청소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프로 생활

울산 시절

2003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데뷔하여, 2005년 K리그 우승 등에 공헌하였다.


러시아 및 성남, 외국 시절

독일 월드컵 직후 김동진과 함께 딕 아드보카트가 감독으로 부임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팀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였다.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후 초반 선발 및 교체를 오가며 출장 기회를 많이 잡아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포지션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2007년 팀에 영입된 티모슈크에게 밀리며 거의 출전하지 못하였다. 2007-08시즌 UEFA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김동진과 함께 차범근 이후 20년 만에 UEFA컵 우승을 경험한 대한민국 선수가 되기도 하였지만, 팀 내에서의 주전 확보에 실패하여 2009년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였다. 성남에서 K리그와 FA컵 준우승에 기여한 후 아랍에미리트알 아인 FC로 이적하였으나 반 시즌만에 J리그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


울산 복귀 및 상주 시절

2011년 오미야를 떠나 친정 팀인 울산으로 복귀하였고, 2011 K리그컵 우승, 2011 K리그 준우승에 일조하였으며, 2012년에는 팀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일조하였다. 2012년 정규 시즌 후 팀 동료 이근호, 이재성과 함께 상무에 입대하여 상무를 2013 K리그 챌린지 우승과 더불어 K리그 클래식 승격에 큰 공헌을 하였고, 2014년 9월 16일에 팀 동료 이재성과 전역하여 울산에 복귀하였다. 2014 시즌이 끝나고 자유계약 신분이 된 이호는 중국 진출을 타진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권경원의 갑작스러운 이적으로 중원 보강을 원하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국가 대표 생활

2005년 딕 아드보카트 감독이 부임하면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중앙 미드필더로 발탁되었고, 2005년 10월 12일 이란과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다. 2006 독일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예선 3경기에 모두 풀타임 출전했으나 스위스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주심의 편파 판정 논란과 함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란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하면서 노메달로 귀국했고 2007년 AFC 아시안컵에는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일본과의 3-4위 결정전 승부차기에서 팀의 네번째 키커로 나가 성공시키며 조국의 6대 5 승리와 차기 아시안컵 자동 출전권 획득에 일조하였다.


플레이 스타일

상대 공격의 맥을 제대로 끊을 수 있는 뛰어난 수비력과 경기장 전체를 아우르는 기동력, 빠른 패스 연결 등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며, 뛰어난 공수 밸런스와 파이팅이 돋보인다. 높은 수준의 성실함과 집중력, 승부근성 또한 이호의 장점 중 하나이다.


에피소드


경력

  • 2010 ~ 2010. 7. : 알 아인 / 페르시안 걸프 리그
  • 2013 ~ 2014. 9 : 상주 상무 / K리그 챌린지, K리그 클래식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