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선수 등록번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9번째 줄: 9번째 줄:
  
  
* 앞자리 4자리는 K리그 입성년도를 나타내지만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기 전인 1998년 이전에 데뷔한 선수들은 임의로 1997이나 1998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1999년부터는 정상적으로 1999년에 데뷔한 선수들이 1999번호를 받고 있다.  
+
* 앞자리 4자리는 K리그 입성년도를 나타내지만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기 전인 1998년 이전에 데뷔한 선수들은 임의로 1997이나 1998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1999년부터는 정상적으로 1999년에 데뷔한 선수들이 1999번호를 받고 있다. 외국인 선수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K리그 입성년도 기준이다.
 +
: 예1) [[김영후]]선수의 경우 2009년에 K리그에 입단했으므로 2009XXX의 값을 가진다.
 +
: 예2) [[김병지]]선수의 경우 1992년에 데뷔하였지만 1997001의 값을 가진다.<ref>1997001로 가장 낮은 번호를 받은 선수가 바로 [[김병지]] 선수다.</ref>
  
* 뒷자리 3자리는 보통 K리그 등록날짜 순으로 되어있는데, 시즌 시작 전에 신인선수들의 명단을 일괄적으로 제출하므로 보통 같은 팀의 선수끼리 비슷한 범주의 번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추가드래프트나 여름이적시장에서 등록된 경우 등록순서대로 번호를 받게 된다.
+
 
: ) [[김영후]]선수의 경우 2009년에 K리그에 입단했으므로 2009XXX의 값을 가진다.
+
* 뒷자리 3자리는 보통 K리그 등록날짜 순으로 되어있는데, 시즌 시작 전에 신인선수들의 명단을 일괄적으로 제출하므로 보통 같은 팀의 선수끼리 비슷한 범주의 번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ref>물론 예외는 항시 존재한다. -_-;;</ref> 하지만 추가드래프트나 여름이적시장에서 등록된 경우 등록순서대로 번호를 받게 된다.
 +
: 예3)
 +
:: 2008001 ~ 2008011 -> 전남
 +
:: 2008012 ~ 2008017 -> 포항
 +
:: 2008018 ~ 2008030 -> 대구
  
  
  
 
== 용도 ==
 
== 용도 ==
 
 
다만 데이터베이스 상의 순번이기 때문에 일상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며, 이 등록번호 순서에 따라 '''[[K리그 등록명]]'''에서 [[동명이인]]인 선수의 뒤에 숫자가 부여된다. 2011년 K리그 홈페이지 리뉴얼 당시에는 선수소개에 등록번호가 병기되었으나 현재는 http 주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베이스 상의 순번이기 때문에 일상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며, 이 등록번호 순서에 따라 '''[[K리그 등록명]]'''에서 [[동명이인]]인 선수의 뒤에 숫자가 부여된다. 2011년 K리그 홈페이지 리뉴얼 당시에는 선수소개에 등록번호가 병기되었으나 현재는 http 주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
: 예4) [[김병지]] 선수의 연맹 공식DB 페이지의 주소를 보면 마지막의 숫자7자리가 '''k리그 선수 등록번호'''임을 알 수 있다.
 +
:: http://kleague.com/matchcenter/record_player.aspx?team_id=K20&player_id=1997001
  
  
== 같이보기 ==
+
== 같이 보기 ==
 
[[틀:연맹공식기록]]
 
[[틀:연맹공식기록]]
  
 +
 +
== 참조==
 +
<references/>
  
  
 
[[분류:K리그]]
 
[[분류:K리그]]

2012년 10월 19일 (금) 03:23 판

K리그 선수 등록번호K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K리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순서대로 임의로 지정한 번호를 말한다.


등록번호 부여

등록번호는 K리그 구단 입단년도 4자리+일련번호 3자리를 합쳐 7자리 숫자조합을 가진다.


  • 앞자리 4자리는 K리그 입성년도를 나타내지만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기 전인 1998년 이전에 데뷔한 선수들은 임의로 1997이나 1998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1999년부터는 정상적으로 1999년에 데뷔한 선수들이 1999번호를 받고 있다. 외국인 선수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K리그 입성년도 기준이다.
예1) 김영후선수의 경우 2009년에 K리그에 입단했으므로 2009XXX의 값을 가진다.
예2) 김병지선수의 경우 1992년에 데뷔하였지만 1997001의 값을 가진다.[1]


  • 뒷자리 3자리는 보통 K리그 등록날짜 순으로 되어있는데, 시즌 시작 전에 신인선수들의 명단을 일괄적으로 제출하므로 보통 같은 팀의 선수끼리 비슷한 범주의 번호를 받는 경우가 많다.[2] 하지만 추가드래프트나 여름이적시장에서 등록된 경우 등록순서대로 번호를 받게 된다.
예3)
2008001 ~ 2008011 -> 전남
2008012 ~ 2008017 -> 포항
2008018 ~ 2008030 -> 대구


용도

다만 데이터베이스 상의 순번이기 때문에 일상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며, 이 등록번호 순서에 따라 K리그 등록명에서 동명이인인 선수의 뒤에 숫자가 부여된다. 2011년 K리그 홈페이지 리뉴얼 당시에는 선수소개에 등록번호가 병기되었으나 현재는 http 주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예4) 김병지 선수의 연맹 공식DB 페이지의 주소를 보면 마지막의 숫자7자리가 k리그 선수 등록번호임을 알 수 있다.
http://kleague.com/matchcenter/record_player.aspx?team_id=K20&player_id=1997001


같이 보기

틀:연맹공식기록


참조

  1. 1997001로 가장 낮은 번호를 받은 선수가 바로 김병지 선수다.
  2. 물론 예외는 항시 존재한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