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번째 줄: 27번째 줄:
 
: '''([[대한민국 U-20 대표팀]] 18경기 출전 1득점)'''
 
: '''([[대한민국 U-20 대표팀]] 18경기 출전 1득점)'''
  
* 현 소속팀 : {{팀|아산|2017}}
+
* 현 소속팀 : {{팀|부산|2018}}
  
 
* [[등번호]] : 88
 
* [[등번호]] : 88
42번째 줄: 42번째 줄:
 
| 2016 || {{왼}} |{{팀|안양|2016}} || rowspan=2|챌린지 || 34 || 14 || 3 || 4 || 5 || 0  
 
| 2016 || {{왼}} |{{팀|안양|2016}} || rowspan=2|챌린지 || 34 || 14 || 3 || 4 || 5 || 0  
 
|-
 
|-
| 2017 || {{왼}} |{{팀|아산|2017}} || 0 || 0 || 0 || 0 || 0 || 0  
+
| 2017 || {{왼}} rowspan=2|{{팀|아산|2018}} || 15 ||  || 0 || 3 || 1 || 0  
 +
|-
 +
| rowspan=2|2018 || rowspan=2|K리그2 || 4 ||  || 0 || 0 || 0 || 0
 +
|-
 +
| {{왼}} | {{팀|부산|2018}} || 0 ||  || 0 || 0 || 0 || 0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20 || 19 || 1 || 1 || 0 || 0  
+
! rowspan=2|통산 ||colspan=2| [[K리그1]] || 20 || 19 || 1 || 1 || 0 || 0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colspan=2| [[K리그 챌린지]] || 34 || 14 || 3 || 4 || 5 || 0  
+
! colspan=2| [[K리그2]] || 53 || 14 || 3 || 7 || 6 || 0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7년 3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8년 12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40271}}
 
:{{연맹선수기록|ID=20140271}}
 
{{col-end}}
 
{{col-end}}
54번째 줄: 58번째 줄:
  
 
== 유소년 생활 ==
 
== 유소년 생활 ==
[[언남고등학교]]를 거쳐 [[연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언남고 시절, 제40회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에서 [[김민우]], [[최정한]]과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였고 결승전에서 [[풍생고등학교]]를 상대로 결승골을 성공시켜 3-0 승리를 이끌어 팀의 첫 우승에 기여하였다.  
+
[[언남고등학교]]를 거쳐 [[연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언남고 시절, 제40회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에서 [[김민우]], [[최정한]]과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였고 결승전에서 [[풍생고등학교]]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3-0 승리를 이끌어 팀의 첫 우승에 기여하였다.  
  
  
 
== 프로 생활 ==
 
== 프로 생활 ==
 
=== J리그 진출 ===
 
=== J리그 진출 ===
[[연세대학교]] 2학년 재학 중인 2009년 6월, 대학을 중퇴하고 [[장외룡]] 감독이 이끄는 [[J리그 디비전1]] 소속의 [[오미야 아르디자]]에 입단하였다.<ref>입단 당시에 프로 선수 C급 계약으로 입단하였다.</ref> 입단 첫 시즌 잔여 기간 동안 4경기에 출전하였고, 이듬해에는 주전 도약을 노렸으나, 그를 입단시킨 [[장외룡]] 감독이 성적 부진과 건강상의 이유로 지휘봉을 내려놓으면서 어려움을 겪고 만다. 이후 오미야에서는 검증된 자원인 [[이천수]]를 입단시켰고, 이에 서 선수는 [[FC 도쿄]]로 임대를 떠나 기회를 모색했지만 이마저도 컨디션 난조로 뚜렷한 활약을 선보이지 못하였다. 임대에서 복귀한 2012년에는 [[J리그 디비전2]] 소속의 [[카탈레 도야마]]로 이적하였다. 카탈레에서는 오미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후보 선수에 그쳤으나 2012년부터 리그 적응을 마치고 38경기에 출전, 5득점을 올렸으며, 이듬해 2013년에는 절정의 기량을 통해 핵심 선수로 급부상해 시즌 7득점을 올리는 활약을 선보였다.<ref>2013년 10월, 콘사도레 삿포르와 경기에서 40M 무회전 중거리 득점으로 J리그 월간 베스트골에 선정되기도 하였다.</ref> 그러나 2014년에는 전반기에 약간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이전의 활약을 이어가지 못하였다.
+
2009년 6월, [[연세대학교]] 2학년을 중퇴하고 [[장외룡]] 감독이 이끄는 [[J리그 디비전1]] 소속의 [[오미야 아르디자]]에 입단하였다.<ref>입단 당시에 프로 선수 C급 계약으로 입단하였다.</ref> 입단 첫 시즌에 4경기 출전 기회를 얻었으나 이듬해 2010년에는 서용덕을 입단시킨 [[장외룡]] 감독이 성적 부진과 건강상의 이유로 오미야 감독직을 사임하게 되면서 팀내에서 큰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후로는 검증된 자원인 [[이천수]]를 입단시켜 서용덕을 대신하였고, 주전 경쟁에서 밀려 [[FC 도쿄]]로 임대 이적을 하였으나 도쿄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2012년에는 [[J리그 디비전2]] 소속의 [[카탈레 도야마]]로 이적하였다. 도야마에서는 초반 부진하였으나 점차 팀에 적응하면서 주전 자리를 공고히하였다. 2013년에는 핵심 선수로 시즌 7득점을 올리는 맹활약을 선보여 프로 데뷔 이후 가장 기록을 남겼다.<ref>2013년 10월, 콘사도레 삿포르와 경기에서 40M 무회전 중거리 득점으로 J리그 월간 베스트골에 선정되기도 했는데, 당시 서용덕의 절정의 컨디션을 대표하는 득점으로 알려졌다.</ref> 그러나 2014년 전반기에는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 울산 시절 ===
 
=== 울산 시절 ===
2014년 6월 30일, [[한상운]]의 군 입대 공백을 대신할 자원으로 낙점받아 [[조민국]] 감독이 이끄는 [[울산 현대]]에 입단해 국내 무대로 복귀하였다. 당시 울산은 [[조민국]] 감독이 경험 부족으로 리그에서 부진을 거듭하고 있었고, 스쿼드의 밸런스도 무너진 상태였기에 서용덕 선수는 분위기 전환 카드의 자격으로 입단 후 며칠이 지난 7월 6일 [[성남 FC]]와 경기에서 선발 출전으로 이른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데뷔전 이후로는 입단 초반 준수한 경기력을 통해 주전으로 활동하였으나, 조직력이 무너진 울산에서 홀로 활약을 이어가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팀 성적과 마찬가지로 서 선수의 경기력도 떨어지고 말았다. [[윤정환]] 감독이 울산 감독으로 선임된 이듬해 2015년에는 거의 후보 자원에 그쳐 경기장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며, 여름부터 기회를 얻었으나 크로스를 제외하면 인상적이지 못하다는 평과 함께 다시 후보 선수로 내려갔다.
+
2014년 6월 30일, [[한상운]]의 군입대로 전력 공백이 생긴 [[울산 현대]]에 입단하였다. 당시 울산은 [[조민국]] 감독이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 리그에서 부진하고 있었기에 서용덕은 분위기 반전 카드 역할을 부여 받아 7월 6일 [[성남 FC]]와 경기에서 이른 데뷔전을 치렀으며, 후에는 [[조민국]]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주전으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2014년 [[울산 현대]]가 손에 꼽힐 정도로 최악이었던 시즌이었고, 경기력 역시 말이 아니었기에 서용덕의 활약 역시 초반보다 미미하였다. 이듬해 [[윤정환]] 감독이 부임한 2015년에는 그다지 중용 받지 못하였다가 여름을 기점으로 로테이션 자원으로 활동하였다.
  
  
 
=== 안양, 아산 시절  ===
 
=== 안양, 아산 시절  ===
2015년 시즌 종료 후에는 [[울산 현대]]퇴단, 2016년 1월 7일로 [[K리그 챌린지]] 소속의 [[FC 안양]]에 입단하였다. 안양에서는 울산 시절보다 더 공격적인 역할을 부여받으며 안정적인 활약을 이어갔으며, 뛰어난 킥을 통해 득점 상황에도 쏠쏠한 기여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첫 시즌 34경기에 출전한 서 선수는, 마찬가지로 울산에서 건너온 [[김민균]] 선수와 함께 핵심 자원으로 평가받아 울산에서의 부진을 털어냈다. 안양과 계약이 만료된 2016년 12월에는 입대를 확정짓고 2017년부터 [[아산 무궁화 FC]]에서 활동하고 있다.
+
[[울산 현대]]에서 [[윤정환]] 감독으로부터 큰 신임을 얻지 못한 서용덕은 팀을 퇴단, 2016년 1월 7일로 [[K리그 챌린지]] 소속의 [[FC 안양]]에 1년 계약으로 입단하였다. 안양에서는 울산 시절보다 꾸준히 경기에 출전하면서 안정적인 활약을 이어갔다. 특유의 킥력을 통하여 전담 키커로 활동하였으며, 공격 전개에서도 강점을 보였다. 서용덕은 2016년 시즌 34경기에 출전하였으며, 당시 [[FC 안양]]의 핵심 선수인 [[김민균]]함께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시즌 종료 후에는 계약만료 상태로 복무를 결정, [[아산 무궁화 FC]]에서 2018년 10월까지 활동하였다. 아산에서는 전역까지 리그에서 19경기에 출전하였다.
 +
 
 +
 
 +
=== 부산 시절 ===
 +
군 복무를 마친 2018년 10월로 [[K리그2]] 소속의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킥 능력이 좋아 프리킥 상황에서 좋은 킥을 선보이며, 크로스 능력도 준수한 편이다. 그러나 수비 가담이 부족하고 활동량이 떨어지는 문제로 [[울산 현대]]에서 활약은 좋지 못하였다. 이후 [[FC 안양]]에 입단하면서 많은 출전 기회를 얻으며 [[K리그]]에 적응을 마치면서 부족했던 단점을 많이 보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정확인 킥력을 자랑하는 선수로 전담 키커로 가용 가능하며, 크로스 능력도 준수한 편이다.  
  
  
92번째 줄: 100번째 줄:
 
| 2016.01 ~ 2016.12 || {{팀|안양|2016}} || [[K리그 챌린지]] ||
 
| 2016.01 ~ 2016.12 || {{팀|안양|2016}} || [[K리그 챌린지]] ||
 
|-
 
|-
| 2016.12 ~ 2018.09 || {{팀|아산|2017}} || [[K리그 챌린지]] || 군복무
+
| 2017.01 ~ 2018.10 || {{팀|아산|2018}} || [[K리그2]] || 군복무
 +
|-
 +
| 2018.10 ~ 현재 || {{팀|부산|2018}} || [[K리그2]] ||
 
|}
 
|}
  
104번째 줄: 114번째 줄:
  
  
[[분류:1989년생]][[분류:언남고등학교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분류:FC 안양의 선수]][[분류:아산 무궁화의 선수]]
+
[[분류:1989년생]][[분류:언남고등학교의 선수]][[분류:연세대학교의 선수]][[분류:해외진출 선수]][[분류:울산 현대의 선수]][[분류:FC 안양의 선수]][[분류:아산 무궁화의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선수]]

2018년 10월 30일 (화) 13:54 기준 최신판

서용덕 (1989년 9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14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이드 미드필더이다.



프로필[편집]

  • 이름 : 서용덕
  • 출생일 : 1989년 9월 10일
  • 신체 : 175cm / 65kg
  • 국가대표 경력
2008년 AFC U-19 챔피언십 본선 대표
2009년 제25회 베오그라드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표
2009년 2009 FIFA U-20 월드컵 본선 대표
(대한민국 U-20 대표팀 18경기 출전 1득점)
  • K리그 기록
연도 소속팀 리그 출장 교체 득점 도움 경고 퇴장
2014 울산 현대 울산 현대 클래식 13 12 1 0 0 0
2015 7 7 0 1 0 0
2016 FC 안양 FC 안양 챌린지 34 14 3 4 5 0
2017 아산 무궁화 아산 무궁화 15 0 3 1 0
2018 K리그2 4 0 0 0 0
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 0 0 0 0 0
통산 K리그1 20 19 1 1 0 0
K리그2 53 14 3 7 6 0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8년 12월 1일 기준
연맹 공식 DB


유소년 생활[편집]

언남고등학교를 거쳐 연세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언남고 시절, 제40회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에서 김민우, 최정한과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였고 결승전에서 풍생고등학교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어 3-0 승리를 이끌어 팀의 첫 우승에 기여하였다.


프로 생활[편집]

J리그 진출[편집]

2009년 6월, 연세대학교 2학년을 중퇴하고 장외룡 감독이 이끄는 J리그 디비전1 소속의 오미야 아르디자에 입단하였다.[1] 입단 첫 시즌에 4경기 출전 기회를 얻었으나 이듬해 2010년에는 서용덕을 입단시킨 장외룡 감독이 성적 부진과 건강상의 이유로 오미야 감독직을 사임하게 되면서 팀내에서 큰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후로는 검증된 자원인 이천수를 입단시켜 서용덕을 대신하였고, 주전 경쟁에서 밀려 FC 도쿄로 임대 이적을 하였으나 도쿄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2012년에는 J리그 디비전2 소속의 카탈레 도야마로 이적하였다. 도야마에서는 초반 부진하였으나 점차 팀에 적응하면서 주전 자리를 공고히하였다. 2013년에는 팀 핵심 선수로 시즌 7득점을 올리는 맹활약을 선보여 프로 데뷔 이후 가장 기록을 남겼다.[2] 그러나 2014년 전반기에는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울산 시절[편집]

2014년 6월 30일, 한상운의 군입대로 전력 공백이 생긴 울산 현대에 입단하였다. 당시 울산은 조민국 감독이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 리그에서 부진하고 있었기에 서용덕은 분위기 반전 카드 역할을 부여 받아 7월 6일 성남 FC와 경기에서 이른 데뷔전을 치렀으며, 후에는 조민국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주전으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2014년 울산 현대가 손에 꼽힐 정도로 최악이었던 시즌이었고, 경기력 역시 말이 아니었기에 서용덕의 활약 역시 초반보다 미미하였다. 이듬해 윤정환 감독이 부임한 2015년에는 그다지 중용 받지 못하였다가 여름을 기점으로 로테이션 자원으로 활동하였다.


안양, 아산 시절[편집]

울산 현대에서 윤정환 감독으로부터 큰 신임을 얻지 못한 서용덕은 팀을 퇴단, 2016년 1월 7일로 K리그 챌린지 소속의 FC 안양에 1년 계약으로 입단하였다. 안양에서는 울산 시절보다 꾸준히 경기에 출전하면서 안정적인 활약을 이어갔다. 특유의 킥력을 통하여 전담 키커로 활동하였으며, 공격 전개에서도 강점을 보였다. 서용덕은 2016년 시즌 총 34경기에 출전하였으며, 당시 FC 안양의 핵심 선수인 김민균과 함께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시즌 종료 후에는 계약만료 상태로 군 복무를 결정, 아산 무궁화 FC에서 2018년 10월까지 활동하였다. 아산에서는 전역까지 리그에서 19경기에 출전하였다.


부산 시절[편집]

군 복무를 마친 2018년 10월로 K리그2 소속의 부산 아이파크에 입단하였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정확인 킥력을 자랑하는 선수로 전담 키커로 가용 가능하며, 크로스 능력도 준수한 편이다.


에피소드[편집]

경력[편집]

시즌 소속팀 리그 비고
2009.06 ~ 2010.12 일본 오미야 아르디자 J리그 디비전1
→ 2010.07 ~ 2010.12 일본 FC 도쿄 J리그 디비전1 임대
2011.01 ~ 2014.06 일본 카탈레 도야마 J리그 디비전2
2014.06 ~ 2015.12 울산 현대 울산 현대 K리그 클래식
2016.01 ~ 2016.12 FC 안양 FC 안양 K리그 챌린지
2017.01 ~ 2018.10 아산 무궁화 아산 무궁화 K리그2 군복무
2018.10 ~ 현재 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 K리그2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입단 당시에 프로 선수 C급 계약으로 입단하였다.
  2. 2013년 10월, 콘사도레 삿포르와 경기에서 40M 무회전 중거리 득점으로 J리그 월간 베스트골에 선정되기도 했는데, 당시 서용덕의 절정의 컨디션을 대표하는 득점으로 알려졌다.